맨위로가기

메이테쓰 니시오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메이테쓰 니시오선은 일본 아이치현을 연결하는 총 24.7km의 철도 노선이다. 신안조역에서 기라요시다역까지 14개의 역이 있으며, 니시오구치-니시오, 사쿠라이-미나미사쿠라이 구간은 복선으로 운영된다. 1911년 니시미 철도에 의해 개통되었으며, 여러 차례의 합병과 노선 변경을 거쳐 현재의 메이테쓰 니시오선으로 운영되고 있다. 현재 특급, 급행, 보통 열차가 운행되며, 신안조, 니시오, 기라요시다역은 유인역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28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동해선
    동해선은 부산에서 강원도, 북한 원산을 잇는 철도 노선으로, 일제강점기에 건설이 시작되어 6.25 전쟁으로 동해북부선이 폐선되고 분단되었으나, 남북 철도 연결 사업이 중단된 후 현재 동해남부선 일부 구간이 광역전철로 운행 중이며, 포항~영덕 구간이 개통되었다.
  • 1928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충북선
    충북선은 조치원역에서 봉양역을 잇는 철도 노선으로, 화물 수송과 무궁화호 운행을 중심으로 운영되며, 고속화 사업을 통해 KTX-이음 운행을 계획하고 있다.
  • 나고야 철도의 철도 노선 - 메이테쓰 나고야 본선
    메이테쓰 나고야 본선은 도요하시역과 메이테쓰 기후역을 잇는 나고야 철도의 주요 간선 노선으로, 아이치현과 기후현의 주요 도시들을 연결하며 복선 및 일부 복복선 구간과 전철화된 전 구간에서 다양한 종별의 열차가 운행되는 것이 특징이다.
  • 나고야 철도의 철도 노선 - 메이테쓰 쓰시마선
    메이테쓰 쓰시마선은 아이치현에 있는 11.8km의 철도 노선으로, 스가구치역에서 나고야 본선과 연결되어 있으며, 복선 및 전철화되어 준급, 급행, 보통 열차가 운행된다.
  • 아이치현의 철도 - 도카이도 신칸센
    도카이도 신칸센은 도쿄역과 신오사카역을 연결하는 일본의 고속철도 노선으로, 1964년 도쿄 올림픽에 맞춰 개통되었으며, 현재 JR 도카이가 운영하고 최고 시속 285km로 운행하며 지속적인 기술 발전과 노선 개량을 통해 운행 시간을 단축해왔다.
  • 아이치현의 철도 - 도카이도 본선
    도카이도 본선은 도쿄역과 고베역을 잇는 713.6km의 협궤 철도 노선으로, 1872년 일부 개통 후 1889년 전 구간 개통하여 일본의 주요 간선으로 성장했으며, 현재는 JR 동일본, JR 도카이, JR 서일본에 의해 지역 수송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메이테쓰 니시오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노선 정보
메이테쓰 익스프레스 3500 시리즈 EMU의 이미지.
요네즈 다리를 건너는 메이테쓰 3500 시리즈 EMU
노선 이름메이테쓰 니시오 선
원래 이름名鉄西尾線
원래 이름 (언어)ja
노선 종류통근 철도
운영1911년
소유주메이테쓰
사용 지역안조시
니시오시
기점신안조 역
종점기라요시다 역
노선 길이24.7 km
역 수14개
전철화 방식직류 1,500 V, 가공 전차선 방식
최고 속도100 km/h
웹사이트니시오 선・가마고리 선
노선도
역사
서미쓰 궤도 개업1911년 10월 30일
벽해 전기 철도 개업1926년 7월 1일
마지막 연장1942년 12월 28일
폐쇄1943년 12월 16일 (오카자키신 역 - 니시오구치 역 구간)
소유주 변천서미쓰 궤도
서미쓰 궤도 → 니시오 철도 + 벽해 전기 철도(벽전)
서미쓰 궤도 → 아이치 전기 철도 + 벽전
서미쓰 궤도 → 나고야 철도 + 벽전
서미쓰 궤도 → 나고야 철도

2. 노선 정보



헤키카이 대지에 위치한 안조시니시오시를 잇는 노선이고, 메이테쓰 나고야 본선메이테쓰 가마고리선을 연결하는 역할도 한다. 미나미안조역, 사쿠라이역 (아이치현), 니시오구치역 - 니시오역 간의 일부 구간은 고가교로 건설되었다.

운임 계산 시에는 영업 킬로미터에 1.15배를 곱한 거리를 사용하는 운임 구분 '''B'''가 적용된다. manaca를 포함한 교통카드 전국 상호 이용 서비스에 대응하는 카드를 노선 내 모든 역에서 사용할 수 있다.

철도요람상 기점은 신안조역이지만, 열차 운행 및 여객 안내에서는 기라요시다역에서 신안조역 방면으로 가는 열차를 하행, 반대 방향을 상행으로 취급한다.

니시오역 - 기라요시다역 구간과 메이테쓰 가마고리선은 이용객 수가 적은 편이다. 이에 2008년 3월, 메이테쓰는 니시오 - 가마고리 간 이용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여, 같은 해 말까지 연선 지자체인 니시오시, 기라정, 하즈정, 가마고리시에 제시하도록 요구했다.[2][3] 자세한 내용은 메이테쓰 가마고리선#존속 문제 문서를 참조할 수 있다.

2008년 미나미사쿠라이역 개업 후, 니시오역 이북 구간을 중심으로 이용객이 증가하고 있다. 반면, 니시오역 이남 구간은 주로 급행 열차만 운행되며 이용객 수는 크게 변하지 않았다.

3. 역사

메이테쓰 니시오선은 현재의 노선 형태를 갖추기까지 여러 철도 회사의 노선이 통합되는 과정을 거쳤다. 크게 '''헤키카이 전기 철도'''가 건설한 신안조 - 니시오 구간과 '''니시오 철도'''가 건설한 니시오 - 기라요시다 구간이 합쳐진 것이다.

니시오 철도는 1911년 오카자키신역과 (구)니시오역 사이에 궤간 762mm의 경편 철도로 개통하여 1916년까지 기라요시다 방면으로 연장했다.[15][18][19][20][23] 한편, 헤키카이 전기 철도는 1926년 신안조역(당시 이마무라역)과 요네즈역 사이에 궤간 1067mm, 1500V 직류 노선으로 개통하여 1928년 니시오역까지 연장했다.[29][30]

1926년 아이치 전기 철도가 니시오 철도를 인수한 후,[20] 헤키카이 전기 철도와의 직통 운행을 위해 1928년1929년에 걸쳐 니시오 철도 구간을 궤간 1067mm로 개궤하고 600V 직류로 전철화했다.[20][15] 이에 맞춰 헤키카이 전기 철도도 전압을 600V로 낮추었다.[21][31]

1935년 아이치 전기 철도와 메이기 철도가 합병하여 나고야 철도(메이테쓰)가 성립되었고,[15] 1944년 메이테쓰는 헤키카이 전기 철도를 합병하여 신안조 - 기라요시다 구간을 통합했다.[21][31] 이 구간은 '헤키세이선'으로 불리다가 1948년 현재의 '니시오선'으로 개칭되었다.

구 니시오 철도의 오카자키 방면 노선은 태평양 전쟁 중인 1943년 운행이 중단된 후,[15] 일부 구간이 잠시 후쿠오카선으로 부활했으나 1959년1962년에 걸쳐 완전히 폐지되었다.[15][6] 1960년에는 니시오 - 기라요시다 구간의 전압이 1500V 직류로 승압되어 전 구간 전압이 통일되었다.[20] 이후 역 신설 및 폐지, 시스템 도입 등의 변화를 거쳐 현재에 이르고 있으며, 상세한 연혁은 하위 문서를 참조하라.

3. 1. 연표

메이테쓰 니시오선은 크게 두 개의 철도 노선이 합쳐져 형성되었다. 하나는 니시오 철도가 1911년 오카자키신역과 (구)니시오역 사이에 762mm 궤간으로 처음 개통하여 1916년까지 기라요시다역 방면으로 연장한 노선이다. 다른 하나는 헤키카이 전기 철도가 1926년 신안조역과 요네즈역 사이에 1,500V 직류 전철화 노선으로 개통하여 1928년 니시오역까지 연장한 노선이다.

1926년 아이치 전기 철도가 니시오 철도를 인수하였고, 1928년1929년에 걸쳐 기존 니시오 철도 구간을 1067mm 궤간으로 넓히고 600V 직류로 전철화하며 헤키카이 전기 철도 노선과 연결했다. 이 과정에서 일부 구선 구간은 폐지되었다. 1935년 아이치 전기 철도는 메이기 철도와 합병하여 나고야 철도(메이테쓰)가 되었다.

한편, 헤키카이 전기 철도는 1944년 메이테쓰에 합병되었다. 이로써 신안조역부터 기라요시다역까지의 노선이 메이테쓰 산하로 통합되었다.

이후 오카자키신역 방면의 구 니시오선 구간은 1943년 운행이 중단된 후 일부 구간이 잠시 후쿠오카선으로 부활했으나 1959년1962년 사이에 완전히 폐지되었다. 1960년에는 니시오역에서 기라요시다역까지 구간의 전압이 1,500V 직류로 승압되어 전 구간의 전압이 통일되었다.

3. 1. 1. 니시오 철도・아이치 전기 철도 니시오선・(구) 나고야 철도 니시오선

현재 니시오선의 일부 구간(니시오 - 기라요시다)은 원래 '''니시오 철도'''가 부설한 노선에서 유래한다. 니시오 철도의 전신인 니시미 철도는 1911년 10월 30일, 오카자키역 근처의 오카자키 신역에서 (구)니시오역까지 궤간 762mm의 경편 철도 노선을 개통했다.[15] 이는 도카이도 본선과 니시오, 헤이사카, 요시다 등 니시미카와 남부 지역을 연결하려는 목적이었다. 1912년 1월 25일 니시오 철도로 회사 이름을 바꾸었으며,[15] 이후 노선을 계속 연장하여 1916년 2월 12일에는 요시다코역까지 전 구간을 개통했다.[18][19][20][23]

1926년 12월 1일, 아이치 전기 철도가 니시오 철도를 흡수 합병하면서 오카자키 신역 - 니시오역 - 요시다코역 구간은 아이치 전기 철도 니시오선이 되었다. 아이치 전기 철도는 당시 자회사였던 헤키카이 전기 철도(신안조 - 니시오 구간 건설)와의 직통 운행을 위해 니시오선의 현대화 작업을 추진했다. 1928년 10월 1일에는 니시오역 - 기라요시다역 구간의 궤간을 1067mm로 넓히고 600V 직류 방식의 전철화를 완료했다. 이 과정에서 니시오역의 위치를 옮겨 헤키카이 전기 철도와 연결했으며, 기존의 구마쿠역 - (구)니시오역 - 잇시키구치역 사이 구선과 (구)기라요시다역 - 요시다코역 구간은 폐지되었다.[20][15] 이듬해인 1929년 4월 1일에는 나머지 구간인 오카자키 신역 - 니시오역 구간 역시 같은 방식으로 개궤 및 전철화되었다.[15]

1935년 8월 1일, 아이치 전기 철도가 메이기 철도와 합병하여 현재의 나고야 철도(메이테쓰)가 탄생하면서 이 노선은 메이테쓰 니시오선이 되었다. 그러나 태평양 전쟁 중이던 1943년 12월 16일, 오카자키 신역 - 니시오역 구간은 전쟁 수행에 필수적이지 않은 노선, 즉 불요불급선으로 지정되어 운행이 중단되었다.[15] 이 휴지된 구간 중 일부(오카자키 역 앞역 - 후쿠오카 정역)는 1951년 후쿠오카선으로 잠시 부활하기도 했으나, 1962년에 최종적으로 폐지되었다.[15][6]

니시오 철도・아이치 전기 철도 니시오선・(구) 나고야 철도 니시오선 주요 연혁
연도날짜내용
1911년10월 30일니시미 철도가 오카자키 신역 - (구)니시오역 간 13.3km 구간을 궤간 762mm로 개업.[15]
1912년1월 25일니시미 철도가 니시오 철도로 사명 변경.[15]
1915년2월 13일니시오역 - 잇시키구치역 구간 개업.[18]
3월 14일잇시키구치역 - 요코스카구치역 구간 개업.[19]
8월 5일요코스카구치역 - (구)기라요시다역 구간 개업. 요코스카구치역 폐지.[20]
1916년2월 12일(구)기라요시다역 - 요시다코역 구간 개업.[23]
1926년12월 1일아이치 전기 철도가 니시오 철도를 합병. 오카자키 신역 - 니시오역 - 요시다코역 구간을 니시오선으로 함.
1928년10월 1일니시오역 - 기라요시다역 구간을 궤간 1067mm로 개궤하고 600V 직류로 전철화. 니시오역을 이전하여 헤키카이 전기 철도와 연결. 구마쿠역 - (구)니시오역 - 잇시키구치역 구간의 구선 및 (구)기라요시다역 - 요시다코역 구간 폐지.[20][15]
1929년4월 1일오카자키 신역 - 니시오역 구간을 궤간 1067mm로 개궤하고 600V 직류로 전철화.[15]
1935년8월 1일아이치 전기 철도와 메이기 철도가 합병하여 나고야 철도 성립. 메이테쓰 니시오선이 됨.
1943년12월 16일오카자키 신역 - 니시오역 구간이 전시 불요불급 노선으로 지정되어 운행 휴지.[15]
1951년12월 1일휴지 구간 중 오카자키 역 앞역 - 후쿠오카 정역 구간 2.5km가 후쿠오카선으로 영업 재개.[15]
1959년11월 25일후쿠오카 정역 - 니시오역 구간 10.3km 폐지.[15]
1962년6월 17일후쿠오카선(오카자키 역 앞역 - 후쿠오카 정역) 폐지.[15][6]


3. 1. 2. 헤키카이 전기 철도

헤키카이 전기 철도는 나고야 철도의 전신 중 하나인 아이치 전기 철도(아이덴)의 자회사로 설립되었다. 모회사인 아이덴과 마찬가지로 처음에는 직류 1500V 전철화 방식으로 노선을 건설했다.

날짜내용비고 (출처)
1923년 5월 23일헤키카이 전기 철도, 헤키카이군 야하기정 - 메이지촌 간 철도 면허 취득[28]
1926년 7월 1일이마무라역(현 신안조역) - 요네즈역 구간 개업 (궤간 1067mm, 직류 1500V).[29] 데100형 전동차(101-103) 투입.
1928년 8월 5일요네즈역 - (가칭) 헤키덴 니시오구치역 구간 개업.[30]
1928년 10월 1일(가칭) 헤키덴 니시오구치역 - 니시오역 구간 개업. 이마무라역 - 니시오역 구간 전압을 600V로 낮춤. (가칭) 헤키덴 니시오구치역 폐지 후 아이덴 니시오선의 (가칭) 니시오구치역에 접속.[21][31] 아이덴 니시오선과 직통 운전 개시.
1929년 4월 1일(가칭) 니시오구치역 폐지.
1930년 4월 3일헤키카이 니시오구치역 개업.
1944년헤키카이 후루이역(碧海古井駅, 현 헤키카이코이역) 휴지.
1944년 3월 1일나고야 철도가 헤키카이 전기 철도를 합병. 기존 니시오선(니시오역 - 미카와 요시다역 구간)을 편입하여 헤키세이선(碧西線)으로 개칭. 헤키카이 니시오구치역을 니시오구치역으로 개칭.



1926년 아이치 전기 철도가 니시오 철도를 흡수 합병한 후, 헤키카이 전기 철도와의 직통 운전을 위해 니시오 철도 구간(오카자키신 - 니시오 - 요시다코)을 궤간 1067mm로 바꾸고 600V로 전철화했다. 이에 맞춰 헤키카이 전기 철도 역시 고속 운전 방침을 변경하고 전압을 600V로 낮추었다.[21][31]

1944년 나고야 철도가 헤키카이 전기 철도를 합병하면서, 이마무라(현 신안조역) - 니시오역 - 기라요시다역(당시 미카와 요시다역) 구간은 헤키세이선으로 통합되었다. 이후 1948년에 다시 니시오선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3. 1. 3. (현) 나고야 철도 니시오선

* 신안조 - 니시오역 간 상당 부분 복선화 부지 확보됨교환 가능역신안조, 미나미안조역, 사쿠라이, 미나미사쿠라이, 요네즈역, 니시오역, 후쿠치역, 가미요코스카역, 기라요시다역전철화 구간전 구간 (직류 1,500 V)폐색 방식자동 폐색식[4]보안 장치M식 ATS[4]최고 속도100km/h[4]



현재의 메이테쓰 니시오선은 과거 '''헤키카이 전기 철도'''가 부설한 신안조 - 니시오 구간과 '''니시오 철도'''가 부설한 니시오 - 기라요시다 구간이 합쳐져 형성되었다.

1944년 3월 1일, 나고야 철도가 헤키카이 전기 철도를 합병하면서, 기존 니시오선의 일부였던 니시오 - 미카와 요시다(현 기라요시다역) 구간을 편입하여 이마무라(현 신안조역) - 미카와 요시다 구간을 '''헤키세이선'''(碧西線)으로 명명했다.[21][31] 이후 1948년 5월 16일, 헤키세이선은 다시 '''니시오선'''으로 개칭되어 현재의 노선명이 되었다.

한편, 구 니시오 철도의 오카자키 방면 노선은 태평양 전쟁 중인 1943년 12월 16일 불요불급선으로 지정되어 오카자키 신역 - 니시오역 구간 운행이 중단되었다.[15] 전후 1951년 12월 1일 일부 구간(오카자키 역 앞 - 후쿠오카 정)이 후쿠오카선으로 영업을 재개했으나,[15] 1959년1962년에 걸쳐 순차적으로 폐지되어[15] 오카자키 방면 노선은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1960년 3월 27일에는 니시오 - 기라요시다 구간의 가선 전압이 1,500V 직류로 승압되어[20] 전 구간 1,500V 운행이 시작되었으며, 최고 속도는 100km/h이다.[4]

2000년대에는 역 집중 관리 시스템 도입 및 트랜패스 대응 과정에서 이용객 수가 적은 역들의 정리가 이루어졌다. 2006년 12월 16일 가마야역과 미카와오기하라역이 폐지되었고, 니시오구치역과 호리우치 공원역은 각각 시가지 위치, 지자체 지원 약속 등의 이유로 폐지를 면했다.

트랜패스 시스템은 2007년 10월 4일 니시오역을 시작으로 순차 도입되어, 2008년 6월 29일 후쿠치역, 가미요코스카역, 기라요시다역까지 확대 적용되며 니시오선 전 구간에서 사용 가능하게 되었다. 같은 날, 사쿠라이역요네즈역 사이에 미나미사쿠라이역이 신설 개업하였다.

4. 운행 형태

요네즈역에 진입하는 기라요시다행 급행


철도요람 상의 기점은 신안조역이지만, 열차 운행 및 여객 안내에서는 기라요시다역에서 신안조역으로 향하는 열차를 하행, 반대 방향을 상행으로 취급한다. 이 문서에서도 실제 운행 방향에 맞춰 기라요시다역 방면을 상행, 신안조역 방면을 하행으로 기술한다.

니시오선에서는 특급, 급행, 보통 등급의 열차가 운행되며, 모든 열차가 니시오선 내 각 역에 정차한다.
특급 열차는 평일 아침 하행 방면으로 1편(285열차)만 운행된다.[48] 이 열차는 전 차량 일반차 4량 편성으로 운행한다.
급행 열차는 일부를 제외하고 나고야 본선, 쓰시마선, 비사이선과 직통 운행한다. 일부 열차는 니시오역에서 시종착하며, 나머지는 기라요시다역까지 운행한다. 급행의 표준 소요 시간은 기라요시다역 - 니시오역 구간(각역 정차)이 12분, 니시오역 - 메이테쓰 나고야역 구간이 49분이다. 아침 및 저녁 시간대에는 주로 4량 편성으로 운행되지만, 일부 2량 편성 열차도 있으며, 신안조역에서 차량을 증결하는 경우도 있다.
보통 열차는 기본적으로 신안조역니시오역 구간을 운행한다. 평일 저녁과 주말 아침에는 4량 편성으로 운행되며, 아침과 밤 시간대 일부 열차는 기라요시다역까지 운행한다.

낮 시간대에는 기라요시다역 발착 급행 열차가 매시 2편(약 30분 간격) 운행되며, 기라요시다역에서 가마고리선 열차와, 신안조역에서는 특급 도요하시역행 및 급행 도요카와이나리역행 열차와 연계된다. 또한 니시오역 발착 보통 열차도 매시 2편(약 30분 간격) 운행되며, 신안조역에서 하행은 급행 메이테쓰이치노미야행, 특급 메이테쓰기후행, 보통 이누야마역행 열차와, 상행은 보통 히가시오카자키행 열차와 연계된다. 열차 교행은 미나미안조역니시오역에서 보통과 급행 간에, 사쿠라이역 - 미나미사쿠라이역 구간(복선)에서 보통 열차 간에, 요네즈역가미요코스카역에서 급행 열차 간에 이루어진다.

오카자키 조카 야스공 하계 축제 불꽃놀이 대회가 열리는 날에는 야간에 급행 열차가 도요아케역까지만 운행하고, 신안조역에서 히가시오카자키역행 급행 열차와 접속하도록 운행될 수 있다.

4. 1. 운행 변천

2008년 6월 29일 시간표 개정 이전에는 낮 시간대에 전 좌석 지정 특급과 쾌속급행이 시간당 각 1편, 보통 열차가 시간당 2편 운행되었다. 해당 개정으로 전 좌석 지정 특급이 쾌속급행으로 변경되었고[50], 급행을 폐지하고 준급이 신설되었다. 새로 개업한 미나미사쿠라이역[43]은 준급 정차역이 되었고, 후쿠치역은 쾌속급행 및 준급 정차역이 되었다[51]. 또한, 니시오선과 가마고리선의 원맨 운전 구간이 가마고리선 내로만 축소되어, 니시오역 - 기라요시다역 구간은 다시 2인 승무 운전으로 변경되었다[52][53].

2008년 12월 27일 개정에서는 쾌속급행이 급행 또는 준급으로 변경되어 폐지되었고, 급행이 6개월 만에 다시 운행되기 시작했다. 아침 및 저녁 시간대의 쾌속급행은 모두 준급으로 변경되어 미나미사쿠라이역에도 정차하게 되었다. 다만 니시오선 내 급행 정차역은 기존 쾌속급행과 동일하게 유지되었다[54]. 이 개정으로 니시오선을 운행하는 열차 등급은 특급, 급행, 준급, 보통이 되었다.

이후 2019년 3월 16일 개정으로 미나미사쿠라이역이 급행 정차역으로 승격되면서 준급이 급행으로 통합되어, 니시오선 내 준급 운행은 중단되었다[45].

2023년 3월 18일 개정에서는 특급 열차가 일부 특별 차량 편성에서 전 차량 일반 차량 편성으로 변경되었다. 동시에 특급 열차의 시발역이 니시오역에서 기라요시다역으로 변경되면서 후쿠치역가미요코스카역이 새롭게 특급 정차역이 되었다.

5. 차량

4량 또는 2량 편성으로 운행된다.

평일 하행의 특급(전 차량 일반차)에는 3000계열의 4량 고정 편성(3500계, 3700계, 3300계, 9500계)이 사용된다. 급행에는 3000계열(3500계, 3700계, 3300계, 9500계, 3100계, 3150계, 9100계), 6000계열(6000계, 6500계, 6800계), 5000계 등 거의 모든 통근형 차량이 투입된다[55]. 보통 열차는 6000계열 운용이 대부분이며, 평일 저녁 시간대에는 3000계열도 운행한다.

과거에는 5500계 (1964년 특급 '미카와만호')[34], 7000계 '파노라마카' (1967년 운행 시작) 등이 운행했으며, 7000계는 2008년에 임시 열차로 다시 운행하기도 했다[44]. 1200계는 2023년 3월까지 정기 특급으로 운행했으며, 2200계는 2009년부터 1200계를 대신하여 임시로 투입된 기록이 있다. 2200계는 정기 운용은 없지만 니시오선 내 자동 방송을 지원한다. 이 외에도 2000계 (1600계 대타 또는 단체 열차), 1800계 (2020년 행사) 등이 임시 또는 단체 열차로 운행된 바 있다.

6. 역 목록

메이테쓰 니시오선의 모든 역은 아이치현 내에 위치한다. 이 노선은 헤키카이 대지에 있는 안조시니시오시를 연결하며, 메이테쓰 나고야 본선메이테쓰 가마고리선을 잇는 역할도 수행한다.

자세한 역 목록 및 등급별 정차역 정보는 아래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6. 1. 영업 중인 구간



헤키카이 대지에 위치한 안조시니시오시를 연결하며, 메이테쓰 나고야 본선메이테쓰 가마고리선을 잇는 역할도 한다. 미나미안조역, 사쿠라이역, 니시오구치역 - 니시오역 간 일부 구간은 고가교로 되어 있다.

manaca 등 교통카드 전국 상호 이용 서비스 대응 카드를 노선 내 각 역에서 사용할 수 있다.

철도요람에 따른 기점은 신안조역이지만, 열차 운행 및 여객 안내에서는 기라요시다역에서 신안조역으로 향하는 열차가 하행, 반대 방향이 상행으로 취급된다.

2008년 미나미사쿠라이역 개업 후, 니시오역 이북 구간을 중심으로 이용객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모든 역은 아이치현 내에 위치한다. 보통 열차는 모든 역에 정차한다. 유인역은 신안조역, 니시오역, 기라요시다역 3개 역이며, 나머지는 무인역이다. 각 역 승강장의 유효장은 신안조역, 미나미안조역, 사쿠라이역, 미나미사쿠라이역, 니시오역이 6량분이고, 그 외 역은 4량분이다. 요네즈역은 4량분이지만 6량 편성 열차의 교행은 가능하다.

'''역 목록 (2023년 3월 18일 개정 기준)'''
역 번호역명일본어 역명역간
거리
(km)
영업
거리
(km)
정차역접속 노선선로소재지
급행특급
역 번호 NH17
NH17
신안조新安城-0.0나고야 철도 NH 나고야 본선 (일부 직통 운행)안조시
역 번호 GN01
GN01
기타안조北安城2.62.6
역 번호 GN02
GN02
미나미안조南安城1.44.0
역 번호 GN03
GN03
헤키카이후루이碧海古井1.75.7
역 번호 GN04
GN04
호리우치코엔堀内公園1.06.7
역 번호 GN05
GN05
사쿠라이桜井1.27.9
역 번호 GN06
GN06
미나미사쿠라이南桜井1.69.5
역 번호 GN07
GN07
요네즈米津2.111.6니시오시
역 번호 GN08
GN08
사쿠라마치마에桜町前1.413.0
역 번호 GN09
GN09
니시오구치西尾口1.214.2
역 번호 GN10
GN10
니시오西尾0.815.0
역 번호 GN11
GN11
후쿠치福地2.417.4
역 번호 GN12
GN12
가미요코스카上横須賀3.120.5
역 번호 GN13
GN13
기라요시다吉良吉田4.224.7나고야 철도 GN 가마고리선



; 범례



기라요시다역 구내에는 가마고리선과의 연락선이 있으며, 이는 열차 회송 시에만 사용된다. 특급 열차는 평일 아침 하행 1편(285열차)만 운행된다.[48]

6. 2. 폐역

6. 3. 폐지 구간

현재의 니시오선은 과거 '''헤키카이 전기 철도'''가 신안조 - 니시오 구간을, '''니시오 철도'''가 니시오 - 기라요시다 구간을 각각 건설한 노선들로 이루어져 있다.

니시오 철도는 원래 오카자키 신 - 니시오 - 미나토마에 구간과 니시오 - 요시다코 구간을 운영하던 궤간 762mm의 경편 철도였다. 도카이도 본선오카자키역과 니시오, 헤이사카, 요시다 등 니시미카와 남부 지역을 연결하기 위해 1916년까지 전 구간을 개통했다.

1926년, 아이치 전기 철도(아이덴)가 니시오 철도를 인수합병하여 오카자키 신 - 니시오 - 요시다코 구간을 니시오선으로 삼았다. 이후 헤키카이 전기 철도와의 직결 운행을 위해 궤간을 1067mm로 넓히고(개궤), 600V 직류로 전철화했다. 헤키카이 전기 철도 역시 아이덴의 자회사로 설립되었으며, 처음에는 1,500V 전철화로 개업했으나 직결을 위해 600V로 전압을 낮추었다.

1935년 아이치 전기 철도와 메이기 철도가 합병하여 나고야 철도(메이테쓰)가 탄생했고, 1944년에는 메이테쓰가 헤키카이 전기 철도마저 흡수합병했다. 이로써 이마무라(현재의 신안조역) - 니시오 - 기라요시다 구간은 '헤키세이선'으로 불리다가 1948년에 다시 '니시오선'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한편, 헤키카이 전기 철도 합병 전인 1943년, 구 니시오 철도 구간이었던 오카자키 신 - 니시오 구간이 제2차 세계 대전 중 불필요하고 급하지 않은 노선(불요불급선)으로 지정되어 운행이 중단되었다. 이 중 오카자키역 앞 - 후쿠오카마치 구간은 1951년 '후쿠오카선'이라는 이름으로 잠시 부활했지만, 직결 운행하던 오카자키 시내선과 함께 1962년에 최종 폐지되었다. 나머지 토로 - 니시오구치 구간은 1959년에 폐지되었다.

전시 중단된 구간의 선로(레일)가 다른 노선 건설에 사용되었다는 여러 주장이 있다.

구간폐지 연도노선 거리
(영업 킬로미터)
궤간역 수복선 구간전철화 구간
오카자키역앞(오카자키 신) - 후쿠오카 정(토로) 간[5]1962년[6]2.5km1067mm5[7]없음(전 구간 단선)직류 600 V
토로 - 니시오구치역1959년9.4km1067mm5[8]없음(전 구간 단선)직류 600 V
구마쿠역 - (구)니시오역 - 잇시키구치 간1928년4.6km762mm3[9]없음(전 구간 단선)없음(비전철화)
요시다 린코 선1928년0.4km762mm1[10]없음(전 구간 단선)없음(전 구간 비전철화)



=== 니시오 부근 구선 구간·요시다 린코선 (1928년 폐지) ===

아이치 전기 철도가 니시오 철도를 합병한 후, 헤키카이 전기 철도와의 연결 및 노선 개량을 위해 1928년에 폐지된 구간이다. 궤간은 762mm였고 비전철화 구간이었다.



=== (구)니시오선 구간 (1943년 휴지, 1959년/1962년 폐지) ===

원래 니시오 철도가 건설한 오카자키 신 - 니시오 구간으로, 1943년 전시 불요불급선으로 지정되어 운행이 중단되었다. 일부 구간(오카자키역 앞 - 후쿠오카마치)은 1951년 '후쿠오카선'으로 잠시 부활했으나 1962년에 폐지되었고, 나머지 구간(토로 - 니시오구치)은 1959년에 폐지되었다. 폐지 직전에는 궤간 1067mm, 직류 600V 전철화 상태였다.
오카자키 신역(오카자키역 앞역) - 토로역(후쿠오카초역) - (임)우라베역* - 미카와나카시마역 - 미코에지마역 - (임)미와가와역* - 야츠멘역 - 구마쿠역 - 니시오구치역 - 니시오역
* 야츠멘역은 1929년 폐지 후 1930년 부활했으나, 최종 폐지 시기는 불명확하다.

참조

[1] 웹사이트 http://www.meitetsu.[...] Nagoya Railroad 2015-02-22
[2] 뉴스 中日新聞 2008-04-12
[3] 웹사이트 名鉄蒲郡線の存続問題再浮上 https://web.archive.[...] 東日新聞 2014-10-17
[4] 서적 名古屋鉄道 今昔―不死鳥「パノラマカー」の功績 交通新聞社 2017-08
[5] 문서 [[名鉄岡崎市内線|福岡線]]復活区間
[6] 문서
[7] 문서
[8] 문서
[9] 문서
[10] 문서
[11] 서적 名鉄の廃線を歩く JTB
[12] 서적 写真アルバム 岡崎・西尾の昭和 樹林舎
[13] 간행물 600 V時代の名鉄 西尾蒲郡線(前編) 2008-10
[14] 서적 名古屋鉄道社史 名古屋鉄道
[15] 서적 日本鉄道旅行地図帳 新潮社
[16] 간행물 軽便鉄道停留場設置 "{{NDLDC|2951976/6}}[...] 1912-03-15
[17] 간행물 軽便鉄道停車場設置 "{{NDLDC|2952697/5}}[...] 1914-07-23
[18] 간행물 軽便鉄道運輸開始 "{{NDLDC|2952870/5}}[...] 1915-02-19
[19] 간행물 軽便鉄道運輸開始 "{{NDLDC|2952895/5}}[...] 1915-03-20
[20] 서적 日本鉄道旅行地図帳 新潮社
[21] 웹사이트 日本鉄道旅行地図帳 追加・訂補 7号 東海 http://www.railforum[...] 鉄道フォーラム
[22] 간행물 軽便鉄道常設停留場ヲ臨時停留場ニ変更 "{{NDLDC|2953027/4}}[...] 1915-08-24
[23] 간행물 軽便鉄道運輸開始 "{{NDLDC|2953172/5}}[...] 1916-02-18
[24] 간행물 軽便鉄道臨時停留場廃止 "{{NDLDC|2953656/5}}[...] 1917-09-20
[25] 간행물 軽便鉄道停車場名改称 "{{NDLDC|2953890/8}}[...] 1918-07-05
[26] 간행물 軽便鉄道常設停留場ヲ臨時停留場ニ変更 "{{NDLDC|2954021/12}[...] 1918-12-11
[27] 서적 名古屋鉄道百年史 名古屋鉄道
[28] 간행물 鉄道免許状下付 "{{NDLDC|2955367/6}}[...] 1923-05-23
[29] 간행물 地方鉄道運輸開始 "{{NDLDC|2956311/10}[...] 1926-07-06
[30] 간행물 地方鉄道運輸開始 "{{NDLDC|2956960/4}}[...] 1928-08-24
[31] 간행물 地方鉄道運輸開始 "{{NDLDC|2956998/5}}[...] 1928-10-08
[32] 서적 名古屋鉄道百年史 名古屋鉄道
[33] 서적 名鉄の廃線を歩く JTB
[34] 서적 名古屋鉄道百年史 名古屋鉄道
[35] 서적 名古屋鉄道百年史 名古屋鉄道
[36] 서적 名鉄の廃線を歩く JTB
[37] 간행물 1992年11月 名古屋鉄道白紙ダイヤ改正 運転と車両の動向 電気車研究会 1992-11
[38] 웹사이트 4月6日からダイヤ改正 新造車両33両を投入し、輸送サービスを向上 三河線、尾西線、岐阜線区など支線区強化を中心に https://web.archive.[...] 名古屋鉄道 2014-10-19
[39] 간행물 輸送と運転 近年の動向 電気車研究会 2006-01
[40] 뉴스 平成17年1月29日にダイヤ改正を実施 http://www.meitetsu.[...] 名古屋鉄道 2014-10-17
[41] 뉴스 西尾線および蒲郡線の一部で「サイクルトレイン」を試験的に実施 ―3月1日(木)〜5月31日(木)の間、列車に自転車を持ち込むことが可能になります― http://www.meitetsu.[...] 名古屋鉄道 2014-10-17
[42] 서적 改訂新版 データブック日本の私鉄 ネコ・パブリッシング
[43] 뉴스 西尾線新駅の駅名と、碧海桜井駅及び碧海堀内駅の駅名変更について http://www.meitetsu.[...] 名古屋鉄道 2014-10-17
[44] 뉴스 7000系パノラマカーで「名称列車」の復活運転を実施します http://www.meitetsu.[...] 名古屋鉄道 2014-10-17
[45] 뉴스 3月16日(土)に一部ダイヤ改正を実施します https://www.meitetsu[...] 名古屋鉄道 2019-03-18
[46] 웹사이트 2023.3.18からの時刻表 https://web.archive.[...] 名古屋鉄道 2023-03-03
[47] 웹사이트 路線別時刻表(2023.3.17までの時刻表/2023.3.18からの時刻表) https://web.archive.[...] 名古屋鉄道 2023-03-03
[48] 서적 JTB私鉄時刻表 関西 東海2024 JTBパブリッシング
[49] 웹사이트 8月4日 - 同12日の夏まつり、花火大会に電車を増発 http://www.meitetsu.[...] 名古屋鉄道 2022-06-13
[50] 문서
[51] 문서
[52] 문서
[53] 뉴스 ダイヤ改正を6月29日(日)に実施 ―西尾・津島線の全列車が乗車券のみでご利用いただけるようになります― http://www.meitetsu.[...] 名古屋鉄道 2014-10-17
[54] 문서
[55]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